Hoplin Devlog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Hoplin Devlog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Categories (8)
    • 개발 (0)
      • Node.js & Nest.js (1)
      • CI CD (6)
      • 환경설정 (1)
    • 경제 (0)

검색 레이어

Hoplin Devlog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Categories

  • Windows: eslint: delete `␍`(prettier/prettier) 에러출처: https://stack94.tistory.com/entry/Prettier-eslint-delete-CR-prettierprettier

    2024.05.22 by J-Hoplin

  •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5 - Github Cache 활용하여 의존성 설치시간 줄여보기

    2024.02.19 by J-Hoplin

  •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4 - 설계내용 적용하기 & PR Merge 이전 테스트 강제하기

    2024.02.18 by J-Hoplin

  • [Node.js] Reflect Metadata 이해하기 #1 - Object Property Attribute

    2024.01.29 by J-Hoplin

  •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3 - Actions Pipeline 설계하기

    2024.01.28 by J-Hoplin

  •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2 - Github Action Script 작성하기

    2024.01.25 by J-Hoplin

  • CI/CD에 대해

    2024.01.24 by J-Hoplin

  •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1 - Github Action 살펴보기

    2024.01.24 by J-Hoplin

Windows: eslint: delete `␍`(prettier/prettier) 에러출처: https://stack94.tistory.com/entry/Prettier-eslint-delete-CR-prettierprettier

개인방에 놓고 사용하던 데스크탑, 노트북 모두 Mac OS계열 PC를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 방에 윈도우 데스크탑의 필요성을 느끼고 윈도우 데스크탑을 추가 구매했다. 구매 후에 간단한 세팅을 하면서 TS백엔드를 위주로 개발하던 나는 VS Code세팅과 동시에 Prettier/Eslint 설정을 하고 있었다. 근데 이게 뭘까...모든 줄마다 위와 같은 오류가 나오고 있었다.(당황) 위 코드는 기존에 Mac OS에서 작업되고 있던 코드인데 EOF(End Of Line)에 대한 설정이 문제였다. 위 에러에서 보이는 CR의 경우에는 Carriage Return을 의미하며, 이스케이프 시퀸스상 '\r'에 해당한다. Prettier 2.0 이상 버전부터는 줄 바꿈 설정 값으로 LF를 사용하는데, 윈도우에서..

개발/환경설정 2024. 5. 22. 01:06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5 - Github Cache 활용하여 의존성 설치시간 줄여보기

이전 포스트까지 해서 Github Actions 테스트 실행 스크립트를 작성해 보았다. https://hoplin-dev.tistory.com/7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4 - 설계내용 적용하기 & PR Merge 이전 테스트 강제하기 이전 포스트에서 적용할 CI 파이프라인에서 적용할 사항들에 대한 고찰과 전반적인 설계를 진행하였다. https://hoplin-dev.tistory.com/5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3 - Actions Pipeline 설계하기 이전 포스 hoplin-dev.tistory.com 이전 포스트 사진에 캡쳐 사진을 보면 Workflow duration이 4m 27s로 되어있다. 하지만 이는 기존에 약 4m 55s 정도 ..

개발/CI CD 2024. 2. 19. 01:29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4 - 설계내용 적용하기 & PR Merge 이전 테스트 강제하기

이전 포스트에서 적용할 CI 파이프라인에서 적용할 사항들에 대한 고찰과 전반적인 설계를 진행하였다. https://hoplin-dev.tistory.com/5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3 - Actions Pipeline 설계하기 이전 포스트에서는 간단하게 Unit Test와 E2E Test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Actions를 작성하였다. https://hoplin-dev.tistory.com/4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2편 - Github Action Script 작성하기 이전 포스트에서 hoplin-dev.tistory.com 이제 실제로 위 설계를 Github Actions로 옮겨볼 차례이다. 전체 코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자. https:/..

개발/CI CD 2024. 2. 18. 16:41

[Node.js] Reflect Metadata 이해하기 #1 - Object Property Attribute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웹 프레임워크는 Nest.js 라는 프레임워크이다. 자세한것은 생략하지만, Nest.js에서는 메타데이터 프로그래밍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Setmetadata 혹은 createDecorator 등 사용자가 메타데이터에 대한 커스텀이 가능하도록 API를 제공하며, 사용되는 @Controller, @Service등 Nest.js의 리소스들도 모두 Metadata기반으로 DI, IoC를 동작시킨다. 이 모든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 라이브러리중 하나가 바로 Reflect-Metadata이다. 리플렉션이란 자기 자신을 프로그래밍 하는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하면 코드 내에 있는 메소드, 타입, 변수등에 대한 정보를 조작할 수 있는것을 의미한다. https://www.npmjs.c..

개발/Node.js & Nest.js 2024. 1. 29. 01:02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3 - Actions Pipeline 설계하기

이전 포스트에서는 간단하게 Unit Test와 E2E Test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Actions를 작성하였다. https://hoplin-dev.tistory.com/4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2편 - Github Action Script 작성하기 이전 포스트에서 Github Actions에 대해 살펴보았다. https://hoplin-dev.tistory.com/2 [CI] Github Branch PR Merge 이전에 Test 진행하기 1편 - Github Action 살펴보기 이전 포스트에서 CI와 CD가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 hoplin-dev.tistory.com 다만 앞에서 작성한 Actions 스크립트는 단순히 테스트만 동작하는 Actions스크립트였다. 하..

개발/CI CD 2024. 1. 28. 15:41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2 - Github Action Script 작성하기

이전 포스트에서 Github Actions에 대해 살펴보았다. https://hoplin-dev.tistory.com/2 [CI] Github Branch PR Merge 이전에 Test 진행하기 1편 - Github Action 살펴보기 이전 포스트에서 CI와 CD가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CI(Continuous Integration)를 구현해 볼 것이다. 현재 초기 개발단계인 프로젝트는 dev 브랜치에 병합을 하면 Developmen hoplin-dev.tistory.com 이제 실제 프로젝트에서 Github Actions를 사용하여 dev브랜치에 Pull Request를 생성하는 경우 테스트를 실행하고 통과하는 경우에만 Pull Request할 수 있도록 해보자. 들..

개발/CI CD 2024. 1. 25. 01:28

CI/CD에 대해

간단한 CRUD API를 배포한다고 가정해보자.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제작 및 배포를 진행할 것이다. API 작성 -> 빌드 -> 테스트(단위, E2E, 통합) -> 배포 위 과정은 모두 사람이 수기로 해도 별 영향이 없다. 하지만 사람들은 왜 CI/CD라는것을 도입할까? 위 과정을 기준으로 어떠한 과정에서 CI와 CD가 활용되는지 알아보자. CI CI란 Continuous Integration의 약자이다. 흔히 지속적 통합이라고 부르며, 위 과정에서 세가지 단계의 관점에 대한 개념으로 짧게 말하면 빌드&테스트 자동화이다. API 작성 -> 빌드 -> 테스트(단위, E2E, 통합) 우리는 git 혹은 svn을 사용하여 소스코드의 버전관리를 진행한다. 그리고 소스코드를 Github, Gitlab..

개발/CI CD 2024. 1. 24. 11:58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1 - Github Action 살펴보기

이전 포스트에서 CI와 CD가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CI(Continuous Integration)를 구현해 볼 것이다. 현재 초기 개발단계인 프로젝트는 dev 브랜치에 병합을 하면 Development 서버에 배포가 된다. 이 레포지토리에 아래 규칙을 강제해 볼 것이다. dev 브랜치에 Pull Request를 하면 Unit Test를 통과해야만 Merge가 가능하다. 우선 이 규칙을 만들기 위해서는 Github Actions 를 사용해야한다.(한글문서를 제공하니 참고하자). 우선 필자가 작성한 스크립트를 보기 전에 해당 글에서는 Github Action에 대해 간단히 짚고 넘어가보자. 문서에서 제공하는 대표 예시를 기준으로 기본적인 Github Action에 대한 이해..

개발/CI CD 2024. 1. 24. 11:5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Hoplin Devlog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