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포스트까지 해서 Github Actions 테스트 실행 스크립트를 작성해 보았다. https://hoplin-dev.tistory.com/7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4 - 설계내용 적용하기 & PR Merge 이전 테스트 강제하기 이전 포스트에서 적용할 CI 파이프라인에서 적용할 사항들에 대한 고찰과 전반적인 설계를 진행하였다. https://hoplin-dev.tistory.com/5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3 - Actions Pipeline 설계하기 이전 포스 hoplin-dev.tistory.com 이전 포스트 사진에 캡쳐 사진을 보면 Workflow duration이 4m 27s로 되어있다. 하지만 이는 기존에 약 4m 55s 정도 ..

이전 포스트에서 적용할 CI 파이프라인에서 적용할 사항들에 대한 고찰과 전반적인 설계를 진행하였다. https://hoplin-dev.tistory.com/5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3 - Actions Pipeline 설계하기 이전 포스트에서는 간단하게 Unit Test와 E2E Test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Actions를 작성하였다. https://hoplin-dev.tistory.com/4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2편 - Github Action Script 작성하기 이전 포스트에서 hoplin-dev.tistory.com 이제 실제로 위 설계를 Github Actions로 옮겨볼 차례이다. 전체 코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자. https:/..

이전 포스트에서는 간단하게 Unit Test와 E2E Test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Actions를 작성하였다. https://hoplin-dev.tistory.com/4 [CI] Github Actions CI 적용하기 2편 - Github Action Script 작성하기 이전 포스트에서 Github Actions에 대해 살펴보았다. https://hoplin-dev.tistory.com/2 [CI] Github Branch PR Merge 이전에 Test 진행하기 1편 - Github Action 살펴보기 이전 포스트에서 CI와 CD가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 hoplin-dev.tistory.com 다만 앞에서 작성한 Actions 스크립트는 단순히 테스트만 동작하는 Actions스크립트였다. 하..

이전 포스트에서 Github Actions에 대해 살펴보았다. https://hoplin-dev.tistory.com/2 [CI] Github Branch PR Merge 이전에 Test 진행하기 1편 - Github Action 살펴보기 이전 포스트에서 CI와 CD가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CI(Continuous Integration)를 구현해 볼 것이다. 현재 초기 개발단계인 프로젝트는 dev 브랜치에 병합을 하면 Developmen hoplin-dev.tistory.com 이제 실제 프로젝트에서 Github Actions를 사용하여 dev브랜치에 Pull Request를 생성하는 경우 테스트를 실행하고 통과하는 경우에만 Pull Request할 수 있도록 해보자. 들..

이전 포스트에서 CI와 CD가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CI(Continuous Integration)를 구현해 볼 것이다. 현재 초기 개발단계인 프로젝트는 dev 브랜치에 병합을 하면 Development 서버에 배포가 된다. 이 레포지토리에 아래 규칙을 강제해 볼 것이다. dev 브랜치에 Pull Request를 하면 Unit Test를 통과해야만 Merge가 가능하다. 우선 이 규칙을 만들기 위해서는 Github Actions 를 사용해야한다.(한글문서를 제공하니 참고하자). 우선 필자가 작성한 스크립트를 보기 전에 해당 글에서는 Github Action에 대해 간단히 짚고 넘어가보자. 문서에서 제공하는 대표 예시를 기준으로 기본적인 Github Action에 대한 이해..